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가 앞으로 인프라 투자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유동성 환경 개선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11일 더페이퍼에 따르면 당일 열린 중국 발개위 기자회견에서는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한 조치’**에 관해 더 많은 민간자본의 인프라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도적 지원 방안이 공개되었다.
💰 유동성 환경 개선 및 민간 자본 지원
특히 발개위 차원에서는 앞으로 국가 투·융자 종합 서비스 플랫폼을 발족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전국 융자 신용 서비스 플랫폼과 연계하여 투·융자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기업의 신용대출 환경을 개선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산업계에 대한 민간자본의 비중을 더 높인다. 원자력발전소(원전)의 경우 민간자본의 비중을 **최대 20%**까지 높이고, 20% 비중 내에서는 민간자본이 국영자본과 차별을 받지 않도록 기준을 보강한다.
🏢 리츠 활용 확대 및 프로젝트 종류 증가
‘리츠’(부동산투자신탁, RETIs) 모델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방침이다. 2024년 이래 리츠의 상시 발행 제도가 실시되며 리츠 시장의 규모가 2,000억 위안 이상으로 성장했다. 앞으로도 리츠가 인프라 투자·운영 기업의 주요한 자금 조달 채널 중 하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전국적인 민간자본 투자 가능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종류를 늘리고 전문 조직, 기관을 신설하여 민간기업의 더 활발한 인프라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searchmchina@searchmchina.com
https://withtoc.com/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