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거래일(9일) 증시 현황
-상하이종합지수 3342.00p(-0.30%)
-선전성분지수 10126.83p(-0.69%)
-촹예반지수 2011.77p(-0.87%)
-홍콩항셍지수 22867.74p(+0.40%)
<정책/이슈>
◆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된 미중 무역협상 마무리
-중국 대표단 조만간 무역협상 관련 기자회견 개최 예정
◆ 국무원 상무회의, 자유무역시범구 건설의 질과 효율 향상 업무 추진 상황 청취
-자유무역시범구가 글로벌 고표준 경상무역 규칙을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제도의 혁신 더욱 강화할 것
◆ 국가통계국, 4월 CPI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
-PPI는 전년 동기 대비 2.7% 하락
-CPI와 PPI 모두 시장 예상치에 부합
<산업>
◆[식음료] 소비 진작 정책 시행에 백주 소비 증가 전망
-1분기 중국의 소매판매 지표는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고 전 분기와 비교해도 0.6%p 상승
-중국 정부가 고강도 소비 진작 정책에 나서며 주민들의 소비 욕구가 크게 회복했고 요식업과 서비스업 소비 촉진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덕분
-요식업 소비 촉진과 주민 상품 소비 진작 정책을 동반 시행하는 과정 속 백주 소비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
-올해 백주 ‘브랜드 가치 제고’에 치중하는 만큼 백주 업계의 실적 성장 기대감은 더욱 고조
-귀주모태주(600519.SH), 양하양조(002304.SZ), 노주노교(000568.SZ), 오량액(000858.SZ) 등 주목
◆[비철금속] 비철금속 섹터 1분기 순이익 급증
-2025년 1분기 비철금속 섹터의 매출과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91%, 68.20% 증가한 8,409.19억 위안, 440.86억 위안을 기록
-1분기에 매출 규모 증가세가 이어지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이 급증
-특히 에너지금속 섹터의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이 기저효과에 힘입어 200% 가까이 증가
-귀금속 섹터의 경우 1분기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이 50.80% 늘어난 38.97억 위안을 기록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높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하기에 중장기적으로 금 투자가치 높을 것으로 전망
-후난골드(002155.SZ), 츠펑골드(600988.SH), 자금광업(601899.SH), 산진인터내셔널골드(000975.SZ) 등 주목
<기업>
◆ 타이양제지(002078.SZ) 전 거래일 종가 14.08위안(+0.93%)
제지 능력 강화 기대 ‘매수’
-2025년 1분기 동사의 매출은 9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8.9억 위안으로 7.3% 감소, 전분기 대비 37.9% 증가
-펄프 가격이 상승하면서 제지 원가가 약간 상승해 실적 감소, 그러나 동종 업계 경쟁사보다는 양호한 실적 기록
-동사는 종이 생산 능력을 강화하며 실적 성장을 시도
-올해 4월부터 산둥성 소재 제지 시설의 시범 가동이 시작되고 이후 난닝시 소재 두 곳의 생산 시설도 올해 4분기 가동 예정
-동사의 제지 능력은 동종 업계 경쟁사를 크게 압도할 것으로 전망
◆ 링룽타이어(601966.SH) 전 거래일 종가 14.76위안(-0.61%)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 증가 ‘비중확대’
-2024년 동사 매출은 220.5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39% 증가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17.52억 위안으로 26.01% 증가
-2025년 1분기 매출은 56.9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12.92% 증가, 전분기 대비 6.75% 감소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3.4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22.78% 감소, 전분기 대비 739.76% 증가
-2024년과 2025년 1분기 타이어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 전년비 증가, 이는 실적 증가의 주요 기반
-중국 타이어 기업의 생산력은 이미 동남아, 유럽, 북미 등 지역에 분포해 있어 일부 리스크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searchmchina@searchmchina.com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