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5개 증권사 주간 전망 & 탑픽 

 중국 내 5개 증권사가 금주 주간 증시의 동향 전망과 탑픽을 제시했다.

▲카이위안증권: 과당경쟁 테마 강세 지속 전망

정부 주요 회의에서도 지속적으로 과당경쟁 문제 해소 조치에 대해 적극 논의 중이며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는 실리콘 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 현황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해 본격적인 개입에 나선 상황. 이후 태양광이나 신에너지 산업으로 조사가 확대될 수 있어 더 본격적인 과당경쟁 문제 해소 작업 실시될 것으로 예상

실제 7월부터 실리콘, 태양광, 리튬 등 가격이 본격적인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7월 생산자 구매관리자지수(PPI)가 본격 상승할 것으로 예상. 정부의 과당경쟁 문제 해결 조치가 시행되며 과당경쟁 테마에 힘 실릴 것으로 보여,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실리콘, 리튬, 신에너지 자동차 등 업종 강세 돋보일 것으로 전망

금주의 탑픽: 닝더스다이(CATL)(300750.SZ)고션하이테크(002074.SZ) 등

▲중인증권: 인공지능(AI) 테마 강세 전망

지난주 열린 ‘글로벌 AI 대회(WAIC 2025)’에서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AI+ 전략’을 여러 차례 강조했던 상황. 중국 정부는 앞으로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대규모 지원 정책을 고려하고 있어 AI 테마가 당분간 시장으로부터 집중 관심 받게 될 것으로 판단

중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AI 관련 육성 계획을 내놓는 만큼 AI 기술 활용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 대한 관심 높아질 것으로 예상. 광통신 장비,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컴퓨팅 인프라 건설 계획에 주요한 투자처로 거론되며 컴퓨팅, 네트워크 인프라 테마주에 다시 관심 가져야할 필요 있어

금주의 탑픽: 차이나모바일(600941.SH)차이나텔레콤(601728.SH) 등

▲톈펑증권: 증시 완만한 상승세 지속 전망

현재 A주 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은 20.4배로 역대 A주 평균 PER 수준에 불과한 상태, 촹예반 지수나 커촹반 지수 PER는 낮은 수준. 반면 거래대금과 신용융자 등 투심 가늠 지표가 전례 없이 호조되어 있어 지난주 증시가 소폭 하락한 점은 증시 회귀 속도를 더 앞당기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

앞으로 증시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 중국 정부가 꾸준히 증시 부양을 위한 본격적인 부양책을 내놓고 있고 투심 지표도 전례 없이 회복한 만큼 증시의 완만한 상승세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 정부의 지원이 기대되는 과당경쟁, 과학기술 육성, 주민 소비 지원 테마 등에 시장 관심 쏠릴 것으로 전망

금주의 탑픽: 상포테크(300454.SZ) 등

▲중위안증권: 하반기 소비 진작 정책 기대감 고조

7월 31일 열린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 열리며 하반기 주민 소비 회복 조치와 ‘제15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 수립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면서 하반기 소비 회복 기대감이 커진 상황. ‘이구환신(以舊換新, 헌것을 새것으로 바꾼다는 의미로 중국 소비진작 조치)’ 테마를 비롯한 더 많은 지원 조치가 실시될 것으로 보여, 증시에도 강한 진작 효과 불러올 것으로 예상

3분기와 4분기 ‘이구환신’ 보조금 예산을 편성해 충분한 재정 여력을 갖추고 하반기 상품, 서비스업 소비 촉진을 위한 조치를 강구 중인 만큼 ‘이구환신’, 서비스업 등 테마에 관심 집중되며 강세 보일 것으로 기대

금주의 탑픽: XJ전기(000400.SZ) 등

▲둥우증권: ’15·5 계획’ 관심 고조 전망

최근 중국 중앙정부 주요 회의에서는 본격적인 ’15·5 계획’ 수립 작업에 돌입하면서 경제 정책에 대한 시장 관심 집중되는 상황. 특히 최근 과당경쟁 문제 해소나 주민 소비 회복, 위안화 국제화 등 여러 정책 방향성이 제기되면서 ’15·5 계획’에서는 이 부분이 강조될 것으로 판단

앞으로의 정책 기조를 가늠하기 위한 투자기관의 연구, 탐방 시도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한동안 정책 테마가 증시 상승 주도할 것으로 예상. ’15·5 계획’ 내 정책 테마 중에서도 과당경쟁, 주민 소비 회복 등 테마에 시장 관심 집중될 것으로 기대

금주의 탑픽: 장강전력(600900.SH)언화제약(002262.SZ) 등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