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진증권은 중국의 국방비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군수 산업 경기를 보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4년 연속으로 국방 예산 증액 규모를 7%대로 유지하는 등 군사력 지속 증강 방침을 시사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한국의 국회 격)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국방비 지출을 전년 대비 7.2% 늘린다고 밝혔다.
중국 국방비는 ‘2027년 건군 100주년 분투 목표’를 세운 2020년 이후부터 꾸준히 상승했다. 2022년 7.1% 증액한 뒤 2023년부터는 매년 7.2% 증액을 동일하게 유지했다. 또 9년 연속으로 한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 국방비는 2013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집권한 이래 급격히 증가했다.
중국 국방비는 지난 30년간 매년 최소 6.6% 이상 늘어왔으며 2013년 7천200억위안에서 올해 1조7천800억위안으로 팽창했다.
국방비의 안정적인 증가세는 군수 산업 경기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의 국방비 증가 여력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다고 판단되며, 해외 각국도 국방비를 늘리는 추세이다.
중국의 연간 국방 예산은 전 세계 2위 규모임에도 미국과 격차가 여전히 크다. 미국의 연 국방 예산 8천500억달러에 비하면 약 4분의 1 규모다.
유럽연합(EU)은 3월 4일 회원국의 방위비 증액을 촉진하기 위해 최소 8천억 유로에 달하는 자금 동원 계획을 내놨다.
군수 섹터 관련주: 페이리화(300395.SZ), 중항선양항공(600760.SH), 중항시안항공(000768.SZ), 중항엔진(600893.SH), 중항광전(002179.SZ) 등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