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안증권은 신소재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 중인 **산동화로항승화학(600426.SH)**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산동화로항승화학은 시장 수급, 원재료 변동, 정책 조정 등 요인으로 주요 제품 가격의 하락 압박을 받았다. 하지만 동사는 판매 증가와 원재료 가격 하락을 바탕으로 한 원가 우세에 힘입어 일부 제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실적 충격을 상쇄했다. 동사는 현재 더저우, 징저우 기지의 각 프로젝트를 순차적으로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기존 산업사슬을 심화함과 동시에 신에너지와 화학공업 신소재 시장을 적극 개척할 계획이다. 동사는 다방면의 산업사슬 연장을 통해 전통 석탄화학공업 기업에서 첨단 신소재와 신에너지 분야 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 주요 재무 성과 및 변화율
| 구분 | 매출액 (억 위안) | 순이익 (억 위안) |
| 2025년 1~3분기 | 235.52 | 23.74 |
| 전년 동기 대비 증감 | -6.46% | -22.14% |
| 구분 | 매출액 (억 위안) | 순이익 (억 위안) |
| 2025년 3분기 | 77.89 | 8.05 |
| 전년 동기 대비 증감 | -5.07% | -2.38% |
| 전분기 대비 증감 | -2.54% | -6.6% |
📈 주요 제품 판매량 증가
산동화로항승화학은 1~3분기에 신에너지 신소재 관련 제품과 화학 비료 등의 판매량 증가를 달성했다.
| 제품 구분 | 판매량 (만 톤) | 전년 동기 대비 증감 |
| 신에너지 신소재 관련 제품 | 216.34 | 13.84% |
| 화학 비료 | 433.29 | 35.45% |
| 유기아민 계열 제품 | 43.29 | 0.87% |
| 초산 및 파생상품 | 114.38 | 1.64% |
업스트림 퓨어 벤젠, 과산화수소, 액체 암모니아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계속 하락하면서 주요 제품 가격 하락을 야기했지만, 이러한 원재료 가격 하락은 동사의 실적 충격을 상쇄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 향후 실적 및 PER 전망
2025년~2027년 산동화로항승화학의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구분 | 2025년 예상 순이익 (억 위안) | 2026년 예상 순이익 (억 위안) | 2027년 예상 순이익 (억 위안) |
| 순이익 | 43.58 | 48.88 | 83.72 |
| 전년 대비 증감 | 11.7% | 12.1% | 9.9% |
| 예상 EPS (위안) | 2.05 | 2.3 | 2.53 |
| 예상 PER (배) | 13.96 | 12.45 | 11.33 |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