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안증권은 3분기 수익성이 대폭 개선된 **폭스콘산업인터넷(601138.SH)**에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3분기 실적 호조와 AI 서버 효과
2025년 1~3분기 동사 매출은 6,039.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38.4% 증가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224.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48.5% 증가했다.
특히 3분기 매출은 2,431.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42.8% 증가, 전분기 대비 21.4% 증가했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103.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62% 증가, 전분기 대비 50.7% 증가하며 매출 증가율을 상회하는 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2025년 3분기 주요 실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 구분 | 매출액 (억 위안) | 순이익 (억 위안) | 전년 동기비 증감률 (%) | 전분기 대비 증감률 (%) |
|:—:|:—:|:—:|:—:|
| 3분기 | 2,431.7 | 103.7 | 42.8% | 21.4% |
재고 급증은 긍정적 신호
1~3분기 동사의 경영활동으로 발생한 현금흐름은 -41.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크게 감소했다. 이는 AI 서버 시장 수요가 강세를 보이면서 동사가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물량 확보를 대량 늘렸기 때문이다.
3분기 말 기준 동사의 재고는 1,646.6억 위안으로 연초 대비 852.7억 위안 대폭 증가했다. 재고가 증가했다는 점은 다운스트림 수주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4분기와 20206년 동사의 실적 증가를 지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AI 서버 수익성 대폭 개선
AI 서버 방면을 보면 수요와 인도가 왕성하며 이에 따라 동사의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 3분기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중 CSP의 GPU AI 서버 매출은 전년 동기비 5배 이상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로는 90% 이상 증가했다.
고가의 AI 서버 출하량이 확대되고 생산 양품률이 상승하면서 동사 규모의 효과도 더욱 커졌고, 기기당 이익도 계속 개선됐다. 이후에도 AI 관련 사업은 동사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순이익 및 밸류에이션 전망
2025~2027년 동사의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및 EPS, PER 전망은 아래와 같다.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전년 대비 증감률 (%) |
| 순이익 (억 위안) | 3.62 | 6.68 | 8.53 | 55.7% |
| EPS (위안) | 1.82 | 3.36 | 4.3 | – |
| PER (배) | 41.32 | 22.36 | 17.51 | – |
2025년 동사의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전년 대비 55.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에는 84.8%, 2027년에는 27.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