췬이증권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의 호조로 **양광전력(300274.SZ)**의 실적 성장 기대감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가 220위안을 제시한다.
📈 1~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양광전력은 3분기 시장의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뛰어난 실적을 기록했다.
| 구분 | 매출 (억 위안) | 순이익 (억 위안) | 매출 증감률 (%) | 순이익 증감률 (%) |
| 1~3분기 | 664 | 118.8 | 33 | 56 |
| 3분기 | 228.7 | 41.47 | 20.8 | 57 |
💡 실적 성장의 핵심 동인: ESS 사업 폭발적 성장
양광전력의 1~3분기 실적 성장을 견인한 주요 요인은 ESS 배터리 사업의 호조이다.
| 사업 구분 | 기간 | 매출 (억 위안) | 증감률 (%) | 기타 수치 | 기타 수치 증감률 (%) |
| ESS 배터리 | 1~3분기 | 288 | 105 | 출하량 29GWh | 70 |
| 인버터 | 1~3분기 | 234 | 12 | – | – |
ESS 사업 매출이 **10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성장을 주도했다.
🌐 글로벌 시장 수혜와 주도주 지위 강화
양광전력의 수익성은 해외 ESS 배터리 주문 증가에 힘입어 크게 개선되었다.
| 시장 구분 | 기간 | 신규 수요 (GWh) | 증감률 (%) |
| 글로벌 ESS 시장 | 1~3분기 | 94 | 74 |
| 국내 ESS 시장 | 1~3분기 | 82 | 61 |
- 글로벌 및 국내 ESS 시장의 신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 양광전력은 국내외 ESS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순위 1~2위를 다투는 기업인 만큼,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다.
- 오랜 기간 ESS 시장에서 주도주 지위를 유지하며 기술력 및 품질에 대한 인지도를 높였다.
- 이로 인해 전력망 기업, 주요 전력 기업, 대기업 등으로부터 대규모 주문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 따라서 양광전력의 주도주 지위는 오래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향후 실적 및 투자 지표 전망
양광전력의 ESS 사업은 앞으로도 강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구분 | 2025년 (E) | 2026년 (E) | 2027년 (E) |
| 순이익 (억 위안) | 156.02 | 197.67 | 231.5 |
| 순이익 증감률 (%) | 41.37 | 26.69 | 17.11 |
| EPS (위안) | 7.52 | 9.53 | 11.16 |
| PER (배) | 22.04 | 17.4 | 14.86 |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