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00 C300 이브에너지(300014.SZ), 글로벌 ESS 시장점유율 2위 ‘매수’ 

 중항증권은 이브에너지(300014.SZ)의 2025년 상반기 실적이 선방했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사업 성장세가 돋보였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2025년 상반기 동사의 매출은 281.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1% 증가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16.05억 위안으로 24.9% 감소했다.이중 2분기 매출은 153.7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6% 증가,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5.04억 위안으로 53% 감소했다.

이는 전반적으로 상반기 실적이 선방했다고 풀이된다. 배터리 가격 약세가 오랜 기간 이어지는 만큼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기에 배터리 업계 전반에 걸쳐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부진한 상황 속 동사 역시 이 기조를 타파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단 배터리 출하량은 대폭 증가했다. 상반기 신에너지 자동차 파워 배터리 출하량은 21.48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58.6% 증가했고 ESS 배터리 출하량은 28.71GWh로 37% 증가했다. 이로 인해 파워배터리 사업 매출은 127.4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8% 증가, ESS 배터리 사업 매출은 102.98억 위안으로 32.5%나 증가했다.

특히 동사는 올해 상반기 기준 글로벌 신에너지 자동차 파워 배터리 시장 출하량 순위 9위를, 글로벌 ESS 배터리 시장 출하량 순위 2위를 차지하며 주도주 입지를 한층 더 공고히 했다.

하반기 실적은 상반기보다 더 개선될 공산이 크다. 우선 상반기 동사는 글로벌 신에너지 자동차 주요 기업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며 배터리 출하량은 더 늘렸는데, 이로 인해 올해 파워 배터리 시장점유율이 더 상승하며 순위 상승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동사는 글로벌 ESS 시장 대표 기업 중 하나로 거론되는 만큼 대규모 ESS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해외 시설을 통한 우회 수출로 무역 갈등 문제를 해소할 가능성도 제기되기에 하반기 동사의 실적은 상반기보다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27년 동사의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각각 44.13억/70.4억/85.7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29/59.52/21.8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EPS는 각각 2.16/3.44/4.19위안으로 예상되며 PER은 24.68/15.47/12.7배다.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