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상증권은 자사주 매수와 홍콩증시 상장을 앞둔 삼일중공업(600031.SH)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했다.
3월 19일 동사는 최소 10억~20억 위안의 자사주 매입을 공시했다.
자사주는 전량 직원 지분 계획에 활용될 예정이며 보통주를 집중 경쟁매매 방식으로 매입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 2월 18일에는 홍콩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예비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이는 글로벌 전략 강화를 위해 해외 자본시장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조치로 향후 지배구조의 투명성과 규범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황에 대한 성장성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중국 주요 굴삭기 제조사들은 총 19,270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이 중 내수는 11,640대로 99% 급증했으며 수출은 7,630대로 13% 증가했다.
1~2월 누적 판매는 총 31,782대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이 중 내수는 17,045대로 51%, 수출은 14,737대로 7% 증가했다.
2025년 2월 중국 내 굴삭기 가동 시간은 평균 56.8시간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해 가동률 회복세도 뚜렷해지고 있다.
또한 지난 3월 18일 독일 연방하원은 5,000억 유로 규모의 특별기금을 조성해 향후 12년간 인프라 및 기후 보호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으로 유럽 내 건설장비 수요 회복이 동사의 성장성을 일부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13일 윈난성 굴삭기 유통사인 ‘혜우리우공’은 주요 굴삭기 모델에 대한 가격 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20톤 이하 모델은 1만 위안, 20~50톤은 2만 위안, 50톤 이상은 3만 위안 인상되었다.
‘린공’ 대리점 역시 10톤 이하 모델의 단가를 5,000위안 인상했다.
업계 전반에 걸쳐 가격 인상 흐름이 확대되는 추세로 동사를 비롯한 굴삭기 제조사들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이를 반영한 2024~26년 예상되는 매출액은 각각 7,820억/ 9,440억/ 1조 1,560억 위안이며 연간 증가율은 각각 6%/ 21%/ 22%로 전망된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각각 58억/ 85억/ 110억 위안이며 연간 증가율은 각각 28%/ 46%/ 30%이며 예상 주가수익비율(PE)은 각각 29배/ 20배/ 15배이다.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