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타이하이퉁증권은 철강 수요가 점차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며 철강 섹터에 대해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지난주(2025년 11월 10~14일) 중국의 5대 강재 품목의 재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공급·수요 모두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철광석 공급이 늘어나고 수요 개선은 어렵다는 평가에 따라 철광석 시장은 점진적으로 공급 여유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제철 비용 부담 완화로 이어져 철강 섹터의 수익성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철강 수요 측면에서는 점진적으로 저점을 형성하며 안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 지난주 강재 수급 현황 (2025년 11월 10~14일)
| 구분 | 수치 (만 톤) | 전주 대비 변동 (만 톤) |
| 5대 강재 품목 표관 소비량 | 860.6 | -6.33 |
| 5대 강재 품목 생산량 | 834.38 | -22.36 |
| 전체 재고 | 1,477.35 | -26.22 |
💡 산업 전망 및 펀더멘털 회복 기대
- 원가 요인 개선: 철광석 시장이 점진적으로 공급 여유 국면에 진입하며 제철 비용 부담 완화를 통해 철강 섹터의 수익성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수요 안정화: 철강 수요는 점진적으로 저점을 형성하며 안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 공급 구조조정: 공급 측면에서도 업계의 손실 기간이 길어지며 시장 기반의 구조조정이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철강 산업의 펀더멘털 회복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 추가 정책 기대: 향후 공급 정책이 추가로 시행될 경우 공급 축소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추천주로 화링철강(000932.SZ), 대야특수강(000708.SZ), 보산철강(600019.SH), 서우강(000959.SZ) 등을 제시한다.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