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성증권은 **비야디(002594.SZ)**의 해외 사업 선방으로 수익성이 한층 더 개선되었다며 투자의견 **’추천’**을 유지했다.
📉 2025년 1~3분기 주요 실적 및 수익성 변화
| 구분 | 매출 (억 위안) | 전년 동기비 증감 (%) |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억 위안) | 전년 동기비 증감 (%) |
| 1~3분기 누적 | 5,662.7 | 12.7% | 233.3 | -7.6% |
| 3분기 단독 | 1,949.8 | -3.1% | 78.2 | -32.6% |
**비야디(002594.SZ)**의 1~3분기 누적 매출은 5,662.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늘었다. 다만,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의 경쟁 과열로 인해 7.6% 감소했다.
3분기 실적 세부 지표
| 구분 | 3분기 실적 (억 위안/%) | 전년 동기비 증감 (%) | 전 분기비 증감 (%) |
| 매출 | 1,949.8 (억 위안) | -3.1% | -3% |
|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 78.2 (억 위안) | -32.6% | 23.1% |
| 매출총이익률 | 17.6% | -4.3%p | – |
| 자동차 및 배터리 매출총이익률 | 20.6% | -5%p | – |
3분기 단독 매출은 3.1% 감소했고, 순이익은 32.6% 감소했다. 이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의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매출총이익률이 17.6%로 전년 동기 대비 4.3%p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자동차 및 배터리 사업 매출총이익률은 5%p 하락했다. 그러나 전 분기와 비교하면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이 23.1% 늘어나며 회복세를 보였다.
🚀 고가형/수출 확대 전략의 성과
| 구분 | 3분기 비중 (%) | 전년 동기비 증감 (p) |
| 고가형 차량 판매 비중 | 8.2% | 4.4%p 상승 |
| 수출 비중 | 20.9% | 20.6%p 상승 |
**비야디(002594.SZ)**는 그간 중저가 차량 대표 브랜드라는 인식을 탈피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중고가, 프리미엄 차량 브랜드를 출시했다. 그 결과 3분기 고가형 차량 판매 비중이 전년 동기 대비 4.4%p 상승한 8.2%를 기록하며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상황이다. 특히 수출 비중은 20.9%로 20.6%p나 대폭 상승했다.
해외 사업의 강력한 성장
- 1~9월 차량 수출 대수: 69.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
- 주요 성장 시장: 튀르키예, 브라질, 유럽 등지에서 판매량이 대폭 늘었다.
- 글로벌 생산 시설 확충: 우즈베키스탄, 헝가리,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등지에 생산 시설을 확충하며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해외 시장은 중국 국내 시장보다 경쟁 구도가 비교적 완만한 편이고 판매 가격도 높아 수익성이 더 크다고 평가된다. 이처럼 해외 사업의 선방은 **비야디(002594.SZ)**의 수익성 향상에 직결될 전망이다.
🔮 향후 실적 및 투자 지표 전망
**비야디(002594.SZ)**가 꾸준히 수익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시도에 나서고 해외 사업 성장세가 기대 이상으로 평가되는 만큼, 동사의 실적은 강한 성장 동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실적 및 밸류에이션 전망
| 구분 | 2025년 (E) | 2026년 (E) | 2027년 (E) |
|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억 위안) | 372.49 | 474.62 | 585.91 |
| 전년 대비 증감 (%) | -7.5% | 27.4% | 23.4% |
| EPS (위안) | 4.09 | 5.21 | 6.43 |
| PER (배) | 25 | 19 | 16 |
2025년 순이익은 일시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27.4%, 23.4%의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EPS는 각각 4.09위안, 5.21위안, 6.43위안으로 예상되며, PER은 25배, 19배, 16배로 전망된다.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