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장증권은 3세대 냉매 제품의 가격 상승세가 **’노멀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생태환경부가 발표한 **’2026년도 오존층 파괴물질 및 수소불화탄화물(HFCs) 총량 설정 및 배분 방안’**에 따라 냉매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 2세대 냉매(HCFCs) 쿼터 대폭 축소 및 퇴출 가속
2026년 중국의 HCFCs(2세대 냉매) 생산량과 사용량은 기준선 대비 각각 71.5%, **76.1%**로 감축된다.
| 구분 | HCFCs 총량 (2026년) | 증감 (%) (YoY) |
| HCFCs 생산 총량 | 15.14만 톤 | -8% |
| R22 생산 쿼터 | 14.61만 톤 | -2.1% |
| R141b 생산 쿼터 | 0톤 | 완전 퇴출 |
HCFCs 생산 총량은 15.14만 톤으로 2025년 대비 8% 줄어든다. 이 중 R22 생산 쿼터는 14.61만 톤으로 2.1% 감소했으며, R141b 생산 쿼터는 0톤으로 설정되어 사실상 완전 퇴출된다. 이는 2026년까지 R141b의 통제 용도 생산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 기존 계획에 따른 것이다. R22 등 2세대 냉매는 주로 에어컨 유지보수 시장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지만, 향후 쿼터 축소에 따라 점진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현재 R22 가격은 톤당 1.6만 위안 수준이다.
⬆️ 3세대 냉매(HFCs) 쿼터 확대 및 가격 상승 노멀화
3세대 냉매의 쿼터는 2026년에 확대 조정되었으며, 품목 간 전환 비율이 10%에서 30%로 확대된 것이 이번 조정의 핵심이다. 3세대 냉매는 신규·확장 생산이 금지되어 있어 기존 설비 규모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상황이다.
| 3세대 냉매 품목 | 2026년 증가 쿼터 |
| HFC-245fa | 11,000톤 |
| HFC-41 | 100톤 |
| HFC-236ea | 50톤 |
| HFC-32 | 45,000톤 |
2025년 10월 기준 3세대 냉매 가격은 다음과 같다.
| 3세대 냉매 품목 | 가격 (톤당, 위안) |
| R32 | 6.3만 |
| R134a | 5.4만 |
| R125 | 4.55만 |
| R143a | 4.6만 |
3세대 냉매는 고정 수요와 기능성 냉매 특징을 바탕으로 비(非)경기민감 산업으로 자리 잡으며, 제품 가격 상승이 새로운 산업 패턴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관심주로 절강거화(600160.SH), 동악그룹(00189.HK), 산메이화학(603379.SH), 하오화화학(600378.SH), **융허제냉(605020.SH)**을 제시한다.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