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터우증권은 야오밍캉더(603259.SH)의 핵심 파이프라인 가시화를 통한 CRDMO 본격 성장을 주목하며 목표가 95.60위안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동사는 약물 개발과 제조를 통합한 CRDMO(위탁연구개발 및 제조) 선두 기업으로 최근 고객사 확대와 파이프라인의 증가, 대규모 생산 능력 확보를 바탕으로 소분자 D&M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D&M 파이프라인은 2021년 1,666건에서 2025년 1분기 기준 3,393건으로 증가했으며 상업화 단계 프로젝트가 동기간 동안 42건에서 75건으로 확대되었다.
생산 부문에서는 지난 2024년 태싱소재 원료의약품(API) 생산기지가 가동되면서 창저우 및 태싱 지역의 생산능력이 확장되었다.
또한 미국 미들턴과 싱가포르 생산 기지의 건설도 순조롭게 진행 중으로 각각 2026년 말, 2027년에 가동될 예정이다.
GLP-1 계열의 항비만 치료제 수요 급증에 따라 펩타이드 CDMO(위탁개발생산)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대표 GLP-1 약물인 ‘티르제파타이드’의 글로벌 매출은 2022년 4.83억 달러에서 2024년 164.66억 달러로 급증하면서 연평균 성장률(CAGR)이 484%에 달했다.
당사의 시험분석 및 임상 CRO, SMO(임상시험 지원 서비스) 부문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 성장세로 업계 선도적 위치를 확립하였다.
2022년 기준 SMO 전문 인력은 4,700명에 달하며 전국 150개 도시의 1,000여 개 병원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최근 10년간 총 255개 신약의 상용화를 지원하였으며 내분비, 피부과, 폐암, 심혈관, 안과, 자가면역, 신경계, 미용의학, 희귀종양 등 다양한 영역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약 파이프라인 성장에 힘입어 2025~27년 예상되는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각각 137.4억/ 138.7억/ 162.1억 위안으로 연간 증가율은 각각 45.3%/ 1.0%/ 16.9%로 전망한다.
따라서 현재 주가 대비 25년 주가수익비율(PER) 20배를 적용하여 6개월 목표주가를 제시한다.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