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거래일(1일) 증시 현황
-상하이종합지수 3348.44p(+0.38%)
-선전성분지수 10503.66p(-0.01%)
-촹예반지수 2101.88p(-0.09%)
-홍콩항셍지수 23206.84p(+0.38%)
<정책/이슈>
◆ 금융감독관리총국 ‘은행업·보험업 과학기술 금융 질적 발전 실시 방안’ 발표, 핀테크 정책 시범 추진
-보험사의 사모증권펀드 설립을 통한 증시 투자와 장기 보유 지원할 것
◆ 3월 부동산 시장 경기 다소 호전
-신규 부동산 시장 개선형 부동산 시장 진입과 정책 지원 속 100개 도시 부동산 평균가 소폭 상승, 반면 기존주택 시장 가격은 하락세 지속
◆ 대형 자동차 제조사들 3월 판매 실적 공개
-샤오펑자동차 3월 인도량 3만 3,205대로 전년 동기비 268% 증가, 5개월 연속 인도량 3만 대 이상 기록
-샤오미자동차 3월 인도량 2만 9,000대 기록, 현재 생산력 확대 순조롭게 진행 중
<산업>
◆[가전] 내수·수출 환경 호조에 가전주 실적 성장 전망
-중국 정부는 ‘이구환신(以舊換新, 헌것을 새것으로 바꾼다는 의미로 중국 소비진작 조치)’ 제도를 연장, 지난해보다 더 많은 가전, 전자제품을 대상으로 교체 보조금을 지급
-올해 중국 정부는 중앙정부 초장기 특별국채를 전년 대비 3배 증액, 연내 가전, 전자제품 구매 혜택은 상당할 것
-수출 시장도 호경기가 유지, 1월 가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8% 늘었고 2월 수출도 6.3% 증가
-올해 중국 가전 업계에서는 내수, 수출 환경 개선에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메이디그룹(000333.SZ), 칭다오하이얼(600690.SH), 하이신가전(000921.SZ), 로반전기(002508.SZ) 등 관련주 주목
◆[철강] 철강 수요 계절적으로 호전
-지난주 중국에서 5대 강재 품목의 공급량이 전주 대비 0.49% 증가한 869.69만 톤을 기록
-같은 기간 동안 5대 강재 품목의 소비량은 전주 대비 1.4% 늘어난 919.78만 톤을 기록
-5대 강재 총재고는 전주 대비 2.85% 줄어든 1,737.6만 톤을 기록
-강재 수요가 계절적으로 반등하고 재고는 감소
-3~4월 성수기에 다운스트림 기업들이 생산재개에 나서면서 강재 수요가 호전, 철강 시장이 아직 성수기 국면이기 때문에 수요가 일정 수준 늘어날 전망
-보산철강(600019.SH), 화링철강(000932.SZ), 서우강(000959.SZ), 산강민광(002110.SZ), 신위철강(600782.SH) 등 관련주 주목
<기업>
◆ 완다시네마(002739.SZ) 전 거래일 종가 11.65위안(+2.82%)
비주력사업 성장세 부각 ‘목표가 최고 15.9위안’
-2024년 영화 산업 침체 속 동사 실적 역시 부진, 그러나 영화 상영 서비스 외 사업은 성장세 부각
-동사는 중국 주요 영화 투자사로 향후 대작에 대한 투자, 제작에 나설 가능성 높아
-게임 사업도 순항 중이며 지난해 동사가 출시한 게임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해외 매출을 올리기 시작
-올해 주민 소비 촉진 정책에 더해 여러 인기 작품이 상영을 앞두고 있어 동사의 실적 회복 기대감은 더 고조
◆ 중국해양석유(600938.SH) 전 거래일 종가 26.52위안(+2.12%)
원가 경쟁력 유지 ‘매수’
-2024년 동사 매출은 4,20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94% 증가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1,379억 위안으로 11.4% 증가
-2024년 동사의 생산량은 크게 증가, 2024년 순수 생산량은 726.8MMBOE(석유환산배럴)로 전년 대비 7.2% 증가
-원가 방면의 경쟁력도 유지, 2024년 배럴당 원유 생산원가는 28.52달러로 전년 대비 1.1% 하락
-향후에도 동사는 원가 절감과 효율 증대의 전략을 견지하며 원가 경쟁력을 계속 강화할 것으로 기대
searchmchina@searchmchina.com
*제휴 콘텐츠 문의 02-6205-6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