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무부가 월마트를 소환해 여러 현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화제다.
12일 CCTV 보도에 따르면 전일 중국 상무부는 월마트 주요 관계자와 ‘회담(約談)’을 진행했다.
‘회담’은 중국 정부가 기업, 단체를 대상으로 한 가장 낮은 단계의 경고성 조치로 분류된다. ‘회담’에서 정부가 관련 문제, 질의를 한 뒤, 이 문제에 대한 자체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경고하고 문제 해결이 더디거나 해소되지 않을 경우 이후부터 본격적인 제재에 돌입하는 조치이다.
이번 ‘회담’에서 상무부는 월마트에 몇 가지 현안을 놓고 집중 질의했다.
특히 ▲월마트의 중국 공급자 가격 인하 요구 ▲중국 공급자의 물품 납품 중단에 따른 미중 양국 소비자의 권익 침해 여부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에 따른 미중 양국 기업의 피해 가능성 ▲가격 인하 요구 지속 여부 등이 주요 의제였다.
가령 상무부는 월마트가 미국 정부의 추가관세 부과를 이유로 중국 공급자에 대한 납품가 인하를 요구한 사안이 시장의 질서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월마트와 공급자가 분명한 가격 협의를 했고 이를 바탕으로 물품을 공급하는데, 미국 정부의 일방적인 추가관세 부과를 이유로 중국 공급자가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지어 이번 사태로 공급자가 물품 납품을 중단하거나 관련 공급사슬이 피해를 받을 경우 미중 소비자 모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미중 양국 기업이 함께 협업 관계를 이어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월마트가 공급자에 가격 인하를 요구한 사안을 놓고 변화가 나오지 않을 경우 ‘회담’ 이후 다른 조치가 시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고 미국 기업은 양국 기업의 동반 성장을 위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월마트의 전체 제품 중 중국산 제품의 비중이 60%에 육박한다는 추산치가 제기되는 상황인데,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20%의 추가관세를 부과한 만큼 월마트 차원에서 이번 사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지 시장의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searchmchina@searchmchi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