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펑증권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전력망 편입 속도가 빨라지며 사업 안정성이 개선될 것이라 전망했다.
최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국가에너지국 등 부처가 연합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전력망 시설 편입 및 전기료 시장화 개혁 조치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산업 질적 성장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조기에 전력망 시설에 편입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밝혔다.
비록 전기료 책정 시스템도 보완해 올해 6월 전 가동을 시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대해서는 일정 수준 차액을 보존하나, 6월 이후 가동되는 발전소의 경우 차액 보존 없이 시장화 방침을 도입한 전기료 책정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중장기적 성장 모델을 만들기 위해 시장화된 전기료 책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으로 풀이된다.
특히 현재 태양광발전 설비의 성능이 향상되며 과거 대비 발전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고 태양광발전 설비의 가격도 크게 내려 매우 낮은 상태인데, 당국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전력망 시설 편입 환경을 개선하며 사업 안정성이 높아진 만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투자 규모는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기업, 개인의 일반 분포식 태양광발전 설비 가동을 통한 전력 판매 환경도 크게 개선될 수 있어 태양광발전 설비 투자는 예상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여 신재생에너지 업계에 새로운 파란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추천주: 진카이신에너지(600821.SH)(구 톈진백화점), 중국녹색전기투자(000537.SZ), 푸넝(600483.SH) 등
searchmchina@searchmchina.com